patchim wymowa.pdf

(69 KB) Pobierz
우리말에서 받침소리 (끝소리)로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은 ‘ ㄱ, ㄴ, ㄷ, ㄹ, ㅁ, ㅂ, ㅇ’의
7 개뿐이다.
나머지 자음들은 이 중의 어느 하나로 발음된다.
① * ㄲ, ㅋ → [ㄱ] 예) 밖[박], 부엌[부억]
* ㅅ, ㅆ, ㅈ, ㅊ, ㅌ, → [ㄷ] 예) 낫[낟], 낮[낟]
* ㅍ → [ㅂ] 예) 잎[입]
② 예)옷에서[오세서], 젖을[저즐], 옷안[오단]
③ * ㄺ → [ㄱ],(예외, ㄺ+ㄱ= [ㄹ])
예) 읽다{익따], 맑다[막따], 읽고[일꼬], 맑게[말께]
* ㄻ → [ㅁ] 예) 삶[삼], 젊다[점따]
* ㄿ → [ㅂ] 예) 읊다[읍따]
* ㄼ → [ㄹ] 예) 넓다[널따]
* 예외, - 밟다 → [밥따],
- ‘넓다’가 합성어가 되는 경우 → [ㅂ]
예) 넓둥글다[넙뚱글다], 넓죽하다[넙쭈카다]
2) ① 받침‘ㄱ(ㄲ, ㅋ, ㄳ, ㄺ), ㄷ(ㅅ, ㅆ, ㅈ, ㅊ, ㅌ, ㅎ), ㅂ(ㅍ, ㄼ, ㄿ, ㅄ)은 ’ ㄴ, ㅁ‘ 앞에서
[ㅇ, ㄴ, ㅁ]으로 발음한다.
㉠ ‘예) 먹는[멍는], 국물[궁물], 몫만[몽만], 긁는[긍는]
㉡ ‘예) 듣는[든는], 짓만[진만], 옷맵시[온맵씨], 있는[인는],
맞는[만는], 쫓는[쫀는], 밭만[반만], 놓는[논는]
㉢ ‘예) 밥물[밤물], 밟는[밤는], 읊는[음는], 없는[엄는]
② 예) 담력[담:녁], 남루[남누], 강릉[강능], 대통령[대:통녕]
③ ‘예) 백로[백노→뱅노], 막론[막논→망논], 백리[백니→뱅니]
몇 리[멷리→멷니→면니], 협력[협녁→혐녁}
④ ‘.예) 신라[실라], 난로[날로], 칼날[칼랄], 물난리[물랄리]
닳는[달는→달른], 뚫는[뚤는→뚤른], 핥네[할네→할레]
902322328.005.png 902322328.006.png 902322328.007.png 902322328.008.png 902322328.001.png 902322328.002.png 902322328.003.png 902322328.004.png
예외) 다음과 같은 단어들은 ‘ㄹ’을 [ㄴ]으로 발음한다.
의견란[의:견난], 임진란[임진난], 생산량[생산냥],
결단력[결딴녁], 상견례[상견녜], 이원론[이원논]
3) 받침의 ‘ㄷ’, ‘ㅌ’이 ‘ㅣ’모음 앞에 오면 ‘ㅈ’, 'ㅊ’으로 바뀌는 현상
① ‘ㄷ’ → [ㅈ]의 경우
예) 해돋이[해도지], 굳이[구지], 곧이듣다[고지듣따]
② ‘ㅌ’ → [ㅊ]의 경우
예) 같이[가치], 붙이다[부치다], 쇠붙이[쇠부치], 밭이[바치]
③ 예) 굳히다[구티다→구치다], 닫히다[다티다→다치다]
* 예) 잔디 ≠ [잔지], 티끌 ≠ [치끌]
4) 된소리되기
① 받침 ‘ㄱ(ㄲ, ㅋ, ㄳ, ㄺ), ㄷ(ㅅ, ㅆ, ㅈ, ㅊ, ㅌ), ㅂ(ㅍ, ㄼ, ㄿ, ㅄ)’ 뒤에 연결되는 ‘ㄱ, ㄷ, ㅂ,
ㅅ, ㅈ’은 된소리로 발음된다.
예) 약국[약꾹], 깎다[깍따], 밝고[발꼬], 삯돈[삭똔],
있고[읻꼬], 있던[읻떤], 낮잠[낟짬], 낯선[낟썬],
덮개[덥깨], 밟고[밥꼬], 읊던[읍떤], 값진[갑찐]
② 어간 받침‘ㄴ(ㄵ), ㅁ(ㄻ)’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‘ㄱ, ㄷ, ㅅ, ㅈ’은 된소리로
발음한다.
예) 신고[신꼬], 앉고[안꼬], 삼고[삼꼬], 젊지[점찌]
③ 어간 받침 ‘ ㄼ, ㄾ’ 뒤에 결합하는 어미의 첫소리 ‘ㄱ, ㄷ, ㅅ, ㅈ’은 된소리로 발음한다.
예) 넓게[널께], 떫지[떨지], 핥다[할따], 훑소[훌쏘]
④ 관형사형 ‘-(으)ㄹ’ 뒤에 연결되는 ‘ㄱ, ㄷ, ㅂ, ㅅ, ㅈ’은 된소리로 발음한다.
Zgłoś jeśli naruszono regulamin